다빈치 리졸브에서 Vp9 코덱 영상 로드가 안될때
다빈치 리졸브 16버전에서 VP9 코덱으로 인코딩된 MKV 영상을 불러오지 못하는 현상이 있어서 공식사이트의 지원코덱 목록을 보니 VP9 코덱은 MOV 컨테이너만 지원합니다.
다빈치 리졸브 공식사이트 지원코덱 리스트
사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H264등의 흔한 코덱으로 재인코딩해서 넣어버리면 되는데 영상이 2~3시간씩 되면 인코딩 자체도 오래걸려서 부담스럽습니다.
H264코덱의 경우는 AVI, MKV to MOV 인코딩 없이 컨테이너만 변환해주는 유틸이 꽤 많이 있지만 Vp9 코덱은 비교적 많이 사용되질 않다보니 찾기가 힘들었는데 의외의 방법으로 해결했네요.
샤나인코더의 특별기능에는 세가지 컨테이너(AVI, MKV, MP4)로의 스트림카피 기능이 있습니다. 원본에서 디코딩, 재인코딩을 거치지 않고 컨테이너만 교체하거나 특정 구간만 잘라내는 기능입니다.
인코딩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처리하는 시간이 파일을 복사하는 정도의 시간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하지만 정작 다빈치 리졸브에서 요구하는 MOV를 지원하지 않는데 무슨 소용인가 싶었지만 이거 외에는 시도해볼만한 방법조차 떠오르지 않아서 일단 MP4로 변환해봤습니다.
이렇게 생성된 영상은 팟플레이어에선 정상 재생이 안되고 사운드만 재생됩니다.
하지만 팟플레이어에서도 정상 재생이 안되던게 의외로 리졸브에 넣어보면 공식지원하는 MOV 컨테이너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영상, 사운드 둘다 인식이 잘됩니다. (사실 넣어보면서도 될거라고 생각도 안했고 우연히 발견한거라 무슨 원리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이 상태에서 편집하고 리졸브에서 출력한 영상은 팟플레이어에서도 정상 재생됩니다.
요약하면
1) VP9 코덱 MKV파일은 다빈치 리졸브에서 로드가 안됨. (MOV만 지원됨)
2) 다른 코덱으로 인코딩하면 쉽지만 오래걸림
3) 스트림 카피를 이용하면 빠르지만 정작 MOV로 스트림카피 해주는 유틸이 없음
4) 근데 샤나인코더에서 MOV대신 MP4로 스트림카피하면 어째선지 리졸브에서 인식함
결론) VP9 코덱 영상을 편집할거면 샤나인코더에서 MP4로 스트림카피해서 리졸브로 편집하면 됨
'일상 & 잡다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운 날씨에 늘어져있는 토끼들 (0) | 2020.05.07 |
---|---|
PS 비타에서 특정 와이파이(SSID) 인식이 안 될 경우 (0) | 2019.07.06 |
안녕하세요 간만에 글 올립니다. (2) | 2019.05.03 |
티오 +_+ (0) | 2019.03.27 |